당뇨 썸네일형 리스트형 샐러드 도시락 식후 혈당 2020-10-24 샐러드 중심의 도시락 식전 혈당 112, 식후 1시간 혈당 163 혈당 51(46%) 증가 출근할 때 가져가는 도시락이다. 삶은 고구마 작은거 1개 닭가슴살 100g 1개 토마토, 삶은 달걀 1개씩 아몬드 몇 알 그리고 200g 정도 양배추랑 양상추, 올리브 몇 알 (양배추랑 양상추는오리엔탈 드레싱이나 발사믹 드레싱 소스를 뿌려서 먹는다) 고구마 한 개만 따로 먹었을 때 207, 217까지 혈당이 올라갔던걸 생각해보면 음식을 먹는 순서하고 혈당하고도 관계가 있나보다. 가능하면 야채와 단백질을 먼저 먹고 탄수화물을 제일 나중에 먹는 방법으로 음식을 먹으면 혈당이 조금 덜 오르는 느낌이다. 고구마가 혈당을 많이 올리는 주범(?)임을 확인했으니 고구마 대신 다른 탄수화물을 찾아봐야겠다. 더보기 단백질바 식후 혈당 2020-10-22 단백질바 식전혈당 105, 식후 1시간 혈당 119 혈당 14(13%) 증가 쿠*에서 판매하는 곰곰단백질바 등산할 때 행동식으로 먹으려고 구매한 단백질바. 단백질바 형태로 나온 제품은 많은데 이 제품이 그나마 당류가 적어서 구매했다. 50g 271kcal 당류 7% 제일 중요한 가격도 착한 편이라서 좋다 ^^;; 생각보다 혈당 증가량이 상당히 작게 나왔다. 이것도 비상식량으로 나쁘지 않다. 등산갈 때 두어개씩 챙겨도 괜찮겠다. 더보기 당뇨 영양식(캔) 식후 혈당 2020-10-20 식전 혈당 98, 식후 1시간 혈당 148 혈당 50(51%) 증가 당뇨환자를 위한 영양식 캔 대상에서 나온 뉴케어 제품이다. 위 선종 제거 때문에 병원에 입원했을 때 금식 후 이런 영양식이 제공된 적이 있었다. 병원 구내에 있는 편의점에 가보니 비슷한 몇몇 제품이 보이길래 전부 구매해서 먹어봤다. 어떤건 미숫가루 맛이고, 어떤건 비릿한 맛 때문에 별로고.. 그 중에서 내 기호에 제일 잘 맞는 제품이 대상에서 나온 뉴케어 시리즈였다. 200ml(200kcal) 제품이라 야간근무 후 아침 대용이나 오후 공복에 먹는 용도로 구매했다. 혈당도 50 증가면 나쁘지 않은것 같고... 비상식량이네. ㅎㅎ 더보기 고구마 식후 혈당(2) 2020-09-18 식전 혈당 98, 식후 1시간 혈당 207 (109증가, 111%) 이전 고구마 식후 혈당을 측정했을 때 104 - 217(113 증가) 97 - 196(99 증가) 100 이상 증가했다. 혹시 싶어서 한 번 더 측정해봤다. (고구마가 도시락으로 준비하기 좋기 때문에 고구마를 포기하고 싶지 않다.. ㅠㅠ) 아무래도 삶은 고구마가 혈당을 많이 올리긴한다. 에혀. 다른 먹거리를 찾아봐야 하려나보다 더보기 토마토, 삶은 달걀, 우유 식후 혈당 2020-09-10 식전혈당 104, 식후 1시간 혈당 134 (변화량 30, 29% 증가) 간단하게 아침식사로 많이 먹는 메뉴(?)이다. 삶은 달걀 2개, 토마토 작은 것 1개, 우유 한 잔. 삶은 고구마가 200넘게 나오는 것보다는 아주 양호한 수치다. 그런데 탄수화물이 없어서 괜찮은지 모르겠다. 더보기 고구마와 혈당 ㅇ 고구마 (중간크기 130g 일 때) - 112칼로리 - 95% 탄수화물 - 식이섬유 4g(하루 권장량 16%) - 비타민 A(하루 권장량 3.5배) - 비타민 B6(하루 권장량 14%) - 칼륨(하루 권장량 13%) - 마그네슘 ㅇ 위험한 고구마 - 신장병 환자에게 위험(칼륨과 비타민A처리가 잘 안됨) - 칼륨이 높아져 부정맥이나 심정지 올 수도 - 고구마가 혈당을 많이 올린다 ㅇ 조리법에 따른 혈당에 영향의 차이 - "Relationship between Processing Method and the Glycemic Indices of Ten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Cultivars Commonly Consumed in Jamaica"(2011) - 찐 고구마( bo.. 더보기 혈당지수(GI)의 재조명 (논문 요약) "혈당 지수의 재조명" 김인주(부산대학교 의과전문대학원 내분비대사내과), 대한당뇨병학회지, 2009 ㅇ 혈당지수(GI)와 혈당부하(GI) 식사 후의 혈당 반응은 음식의 양뿐 아니라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즉 포도당으로 소화되어 흡수되는 속도가 느린 식품은 섭취 후에 혈당증가 반응이 느리고, 소화 흡수가 빠른 식품을 섭취한 후에는 혈당이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인슐린의 분비도 더 증가시킨다. 이런 다양한 당질의 소화 흡수의 속도를 반영하는 것이 혈당지수이다.1981년 Jenkins 등은 각각 50 g의 당질을 함유한 표준식품(포도당 또는 흰빵) 섭취 후의 혈당반응에 대한 특정식품섭취 후의 혈당반응 정도를 비교하여 특정식품에 포함된 당질의 질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혈당지수를 고안하였다. 혈당지수는.. 더보기 당부하지수(GL) 당부하지수(GL: Glycemic load)는 탄수화물의 흡수 속도 뿐 아니라 식사하면서 섭취하는 탄수화물의 양까지도 고려하여 혈당을 예측하는 값으로, 당지수와 1회 섭취시 포함되는 탄수화물의 양을 곱하여 100으로 나눈 값이다. 수박은 GI 지수 72인 고(high) 당지수 식품이지만, 거의 대부분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한 번 섭취할 때의 탄수화물 양을 고려한다면 다른 고 당지수 식품과 구별해야 할 것이다. 수박의 1회 섭취량을 120g으로 계산한다면 많은 수분과 6g 정도의 탄수화물만 섭취할 뿐이다. 이를 근거로 수박의 당부하지수를 산출해보면(72*6/100=4.32) 당부하지수는 약 4 정도가 된다. 당부하지수가 20 이상이면 당부하지수가 높은 음식, 11~19는 당부하지수 중간, 10이하..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