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썸네일형 리스트형 식품의 당지수(GI) 당지수(glycemic index ; GI)는 1981년 토론토 대학의 Jenkins 등이 식후에 당질의 흡수 속도를 반영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기준이 되는 식품과 비교한 특정 식품의 식후 혈당의 반응 정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특정 식품 속에 포함된 50g의 당질을 섭취한 후 혈당의 반응 곡선 면적을 표준 식품인 흰 빵이나 glucose에 들어 있는 50g의 당질을 섭취한 후의 혈당 반응 곡선 면적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즉. 각 식품의 탄수화물 50g을 섭취한 후 2시간 동안의 혈당 변화를 포도당 50g을 섭취한 경우를 기준치 100으로 놓았을 때와 상대적으로 비교 측정하여 숫자로 표기한 것이다. 그러므로 GI 지수 70인 음식은 포도당에 비해 70%의 속도로 분해, 소화, 흡수되어 혈액에 혈당을 공.. 더보기 운동과 혈당 ㅇ 운동시 체내 대사의 변화 - 운동을 하는 경우 근육의 주된 연료가 유리지방산에서 유리지방산, 포도당, 근육 내 글리코겐 등으로 다양해진다. - 온동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수화물이 근육의 연료로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고강도 운동의 초기에는 주로 근육의 글리코겐이 사용된다 - 운동시간이 길어지고 근육의 글리코겐이 고갈되어감에 따라 혈중 포도당과 유리지방산의 흡수와 사용이 증가된다. - 근육에 필요한 포도당은 처음에는 간의 글리코겐 분해로 만들어지지만, 이후에는 포도당신합성에서 기원한다. - 운동에 의한 대사변화는 여러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가증 큰 영향 인자는 운동의 강도와 지속시간이다. - 적절한 운동은 지질대사의 장애를 교정하고(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이 감소되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 더보기 당뇨 전단계(공복혈당장애, 내당능장애) ㅇ 당뇨병 전단계 혈당이 당뇨병 진단 기준보다는 낮지만 정상보다 높은 경우 "당뇨병 전 단계"라고 합니다. 정상인 경우 혈당 수치- 공복혈당 100mg/dL 미만- 식후 2시간 혈당 140mg/dL 미만 ㅇ 공복혈당장애(impaired fasting flucose, IFG)8시간 이상 공복상태에서 측정한 혈당이 당뇨병의 기준인 126mg/dl보다는 낮지만 정상수치인 100mg/dl보다 높은 경우 공복혈당장애라고 합니다. ㅇ 내당능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경구당부하 검사 식후 2시간 혈당 수치가 당뇨병 기준이 200mg/dl보다는 낮지만 정상수치인 140mg/dl보다 높은 경우 내당능장애라고 합니다. (그림 출처 http://www.thedoc.co.kr/) 당뇨병 전.. 더보기 당뇨병 정의와 진단기준 ㅇ 당뇨병이 뭐야? 당뇨병은 혈액 속의 포도당 수치가 정상보다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위장에서 소화된 탄수화물은 소화효소에 의해 포도당으로 변한 다음 혈액 속으로 흡수되고, 혈액 속으로 들어간 포도당, 즉 "혈당"은 세포로 이동되어 에너지로 사용됩니다. 이 때 혈당이 세포로 들어가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으로 당뇨병은 이러한 인슐린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거나, 제 기능을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며 그 결과 세포로 들어가지 못한 포도당이 혈액에 계속 쌓이면서 고혈당을 일으키게 됩니다. ㅇ 당뇨병의 분류* 제1형(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 전체 당뇨병의 5~10% 정도로 추정됩니다. 30세 이전에 주로 발생하며 소아 때 많이 발생한다고해서 “소아당뇨병”이라고 부르기도 했습.. 더보기 당뇨와 혈당에 관한 블로깅 시작 뉴스 기사에 ‘직장인 이모씨(45세)는 최근 건강검진 결과 혈당수치가 정상치를 넘어서서 당뇨병이 의심된다는.... ’ 식의 기사를 드물지 않게 접하게 됩니다. 적어도 제목만 보고 넘어간 기사가 대부분입니다. 그런데 저도 이번 건강검진에서 혈당 수치가 높아서 재검이 나왔더군요. 당뇨라는게 수술이나 약을 먹는다고 금방 낫는 병도 아니고, 평생동안 관리해야 하는 병이면서, 당뇨병 자체보다는 합병증 때문에 무서운 병이라는건 들어 알고 있던터라 조금 놀랐습니다. 여우같은 자식(!!)들과 토끼같은 마누라를 둔 40대로써 덜컥 겁이 난 것도 사실이구요. 제가 운동도 글로 배우는 성격이라(^^) 당뇨나 혈당에 관한 것들을 찾아보기 시작했지만 너무 간단한 내용만 있는 뉴스나 블로그가 대부분이고, 책을 찾아봐도 ‘000만..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