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 썸네일형 리스트형 혈당지수(GI)의 재조명 (논문 요약) "혈당 지수의 재조명" 김인주(부산대학교 의과전문대학원 내분비대사내과), 대한당뇨병학회지, 2009 ㅇ 혈당지수(GI)와 혈당부하(GI) 식사 후의 혈당 반응은 음식의 양뿐 아니라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즉 포도당으로 소화되어 흡수되는 속도가 느린 식품은 섭취 후에 혈당증가 반응이 느리고, 소화 흡수가 빠른 식품을 섭취한 후에는 혈당이 급격하게 증가하므로 인슐린의 분비도 더 증가시킨다. 이런 다양한 당질의 소화 흡수의 속도를 반영하는 것이 혈당지수이다.1981년 Jenkins 등은 각각 50 g의 당질을 함유한 표준식품(포도당 또는 흰빵) 섭취 후의 혈당반응에 대한 특정식품섭취 후의 혈당반응 정도를 비교하여 특정식품에 포함된 당질의 질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혈당지수를 고안하였다. 혈당지수는.. 더보기 당부하지수(GL) 당부하지수(GL: Glycemic load)는 탄수화물의 흡수 속도 뿐 아니라 식사하면서 섭취하는 탄수화물의 양까지도 고려하여 혈당을 예측하는 값으로, 당지수와 1회 섭취시 포함되는 탄수화물의 양을 곱하여 100으로 나눈 값이다. 수박은 GI 지수 72인 고(high) 당지수 식품이지만, 거의 대부분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한 번 섭취할 때의 탄수화물 양을 고려한다면 다른 고 당지수 식품과 구별해야 할 것이다. 수박의 1회 섭취량을 120g으로 계산한다면 많은 수분과 6g 정도의 탄수화물만 섭취할 뿐이다. 이를 근거로 수박의 당부하지수를 산출해보면(72*6/100=4.32) 당부하지수는 약 4 정도가 된다. 당부하지수가 20 이상이면 당부하지수가 높은 음식, 11~19는 당부하지수 중간, 10이하..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