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이란 여러 가지 신진대사(대사)와 관련된 질환이 함께 동반된다(증후군)는 의미에서 만들어진 용어로,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콜레스테롤, 고혈압 및 당뇨병을 비롯한 당대사 이상 등 각종 성인병이 복부비만과 함께 동시 다발적으로 나타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대사증후군의 원인
대사 증후군의 발병 원인이 무엇 무엇 때문이라고 명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혈당을 낮추는 호르몬인 인슐린에 대한 몸의 반응이 감소하여 근육 및 지방세포가 포도당을 잘 섭취하지 못하게 되고, 이를 극복하고자 더욱 많은 인슐린이 분비되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더 많은 인슐린이 분비됨에도 불구하고 체내에서 요구하는 인슐린 양보다 췌장에서 생산하는 인슐린의 양이 적다면 결국 제2형 당뇨병이 발생하게 됩니다)
복강 내의 내장지방은 대사적으로 매우 활발하여, 아주 여러 가지 물질들을 분비하는데,
이러한 물질들은 혈압을 올리고, 혈당조절 호르몬인 인슐린의 역할을 방해하여 고인슐린혈증, 인슐린저항성 및 혈당 상승을 초래함으로써 당뇨병의 위험을 높이고,
혈관 내 염증이나 응고를 유도하여 동맥경화를 촉발하며,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이고,
이렇게 유발된 고혈압, 당뇨병 및 고인슐린혈증 또한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인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대사증후군관리사업 오락 프로젝트 (http://www.5check.or.kr/)>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
아래의 기준 중 세 가지 이상이 해당되면 대사증후군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1) 허리둘레 : 남자 90 cm, 여자 80cm;이상
2) 중성지방 : 150mg/dL 이상
3) 고밀도지방 : 남자 40mg/dL 미만, 여자 50 mg/dL 미만
4) 혈압 : 130/85 mmHg 이상 또는 고혈압약 투약 중
5) 공복혈당 : 100mg/L 이상 또는 혈당조절약 투약 중
중성지방
혈중 중성지방은 식사로부터 들어오는 지방이나 간에서 합성되는 지방이 혈액 속에 있는 형태로, 혈중 지방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정상수준의 중성지방 농도는 150㎎/㎗ 이하이며, 200~399㎎/㎗ 이면 경계수준, 400㎎/㎗ 이상이면 고위험군으로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혈중 중성지방은 혈관건강에 나쁜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생성을 돕고, 좋은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의 분해를 촉진하므로,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지면 동맥경화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고밀도 지방
우리 몸속의 기름기는 크게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두가지를 이야기합니다.
클레스테롤은 또한 고밀도(HDL)-콜레스테롤과 저밀도(LDL)-콜레스테롤의 두가지로 나눕니다.
이중에서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동맥경화를 잘 일으키는 해로운 콜레스테롤이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오히려 동맥경화를 막아주는 이로운 기름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성인을 대상으로 피검사를 했을 때 이들 기름기 각각의 바람직한 수치의 범위는 공복상태에서 검사했을 때,
- 전체(총) 콜레스테롤은 150-220㎎%,
- 중성지방은 100-200㎎%,
- 고밀도(HDL)콜레스테롤은 40㎎%이상,
- 저밀도(LDL)콜레스테롤은 130㎎% 이하를 유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건강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구마와 혈당 (0) | 2020.10.23 |
---|---|
유산소 운동 강도에 따른 혈당의 변화 (0) | 2015.08.07 |
당뇨환자와 운동요법 (0) | 2015.08.05 |
혈당지수(GI)의 재조명 (논문 요약) (0) | 2015.08.02 |
당부하지수(GL) (0) | 2015.08.01 |